
본 포스팅은 "머신러닝과 블록체인을 떠받치는 GPU의 모든 기술" 책을 읽고, 글쓴이의 생각을 정리하는 포스팅 입니다.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3499076 머신러닝과 블록체인을 떠받치는 GPU의 모든 기술 이 책은 GPU의 기본 구조와 기술 동향에 초점을 맞춘 해설서입니다. 3D 그래픽, 게임, 모바일, VR/AR, 과학 기술 계산, 그리고 인공지능/딥러닝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분야에서 GPU/병렬 계산의 중요도 book.naver.com 1. 메모리 구조 지난 포스팅 마지막에 "동일한 Data를 공유해야하는 Work가 다른 CU(혹은 SM)에 할당된 경우 CU(혹은 SM)끼리의 데이터 교환(다른 CU, SM의 Cache의 데이터 조회)..

본 포스팅은 "머신러닝과 블록체인을 떠받치는 GPU의 모든 기술" 책을 읽고, 글쓴이의 생각을 정리하는 포스팅 입니다.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3499076 머신러닝과 블록체인을 떠받치는 GPU의 모든 기술 이 책은 GPU의 기본 구조와 기술 동향에 초점을 맞춘 해설서입니다. 3D 그래픽, 게임, 모바일, VR/AR, 과학 기술 계산, 그리고 인공지능/딥러닝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분야에서 GPU/병렬 계산의 중요도 book.naver.com 1. GPU구조 GPU의 구조를 극도로 간소화 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GPU 칩 내부에 숫자연산을 할 수 있는 연산기 다수 + 캐시가 존재하고, 부족한 캐시용량을 RAM을 사용해서 메모리 계층구조를 ..
본 포스팅은 "머신러닝과 블록체인을 떠받치는 GPU의 모든 기술" 책을 읽고, 글쓴이의 생각을 정리하는 포스팅 입니다.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3499076 머신러닝과 블록체인을 떠받치는 GPU의 모든 기술 이 책은 GPU의 기본 구조와 기술 동향에 초점을 맞춘 해설서입니다. 3D 그래픽, 게임, 모바일, VR/AR, 과학 기술 계산, 그리고 인공지능/딥러닝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분야에서 GPU/병렬 계산의 중요도 book.naver.com 1. 성능지표 이 성능지표는 GPU그 그야말로 두뇌 풀 가동을 하면, 1초에 최대 몇번의 연산을 할 수 있냐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예전 Nvidia의 Passcal GP100 의 경우 SM(Stream..

본 포스팅은 "머신러닝과 블록체인을 떠받치는 GPU의 모든 기술" 책을 읽고, 글쓴이의 생각을 정리하는 포스팅 입니다.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3499076 머신러닝과 블록체인을 떠받치는 GPU의 모든 기술 이 책은 GPU의 기본 구조와 기술 동향에 초점을 맞춘 해설서입니다. 3D 그래픽, 게임, 모바일, VR/AR, 과학 기술 계산, 그리고 인공지능/딥러닝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분야에서 GPU/병렬 계산의 중요도 book.naver.com 1. 데이터의 병렬처리 풀린의 분류라고 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으로 크게 4가지로 나뉩니다. 1. SISD(instruction : single, data : single) 2. SIMD(inst..

지난 포스팅에선 Point가 존재하는 화면을 Clipping 하는 방법에 대해서 확인하였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2차원 평면에서 Line을 Clipping 하는 방법에 관련한 포스팅 입니다. 방법론 으론는 -. Cliping window를 기준으로 영역을 나눠서 판단하는 Cohen-Sutherland 선분 Clipping -. 걱 선분마다 선분의 방정식을 매개변수로 표현하여 판단하는 Liang-Barsky 선분 Clipping 이 있습니다. 1. Cohen-Sutherland 선분 Clipping 해당 방법론은 Clipping Wnd를 중심에 두고, 좌우상하 와 대각선, 총 8개의 구역으로 나누게 됩니다. 이때 선분의 시작점과 끝점을 이어서 선분이 어떠한 영역에 위치하는지 확인하여 선분을 Clipping하..

지난번 포스팅까지 해서 어떻게 선을 그리는지, 어떻게 색을 구성, 채우는지 확인하였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이렇게 결정된 도형을 2차원 화면에 Rendering 할 영역을 설정하는 내용입니다. 아래 예시를 보시죠 파란색 삼각형과 초록색 원 모두 계산완료 하였지만, 실제 화면에 보여질 영역은 빨간 사각형 입니다. 이런 빨간영역 만 남길때, 기존에 포스팅했던 기하변환을 사용합니다. 보시는것 처럼, 크기변환 과 점의이동 두가지 기하변환을 순서대로 적용합니다. 1. (X_min, Y_min)을 기준으로 Size를 크기를 2로 바꾸는 크기변환 행렬을 구한다. └1_1. 1을 진행하기 위해서 (X_min, Y_min)을 (0, 0)으로 이동시킨다. 2. (X_min, Y_min)을 (-1,-1) 로 이동시키는 점의 ..
- Total
- Today
- Yesterday
- react
- 동적계획법
- GDC
- ai
- 사칙연산
- LLM
- 청첩장
- prime number
- Search알고리즘
- git
- javascript
- 코딩테스트
- Greedy알고리즘
- Python
- 병렬처리
- 프로그래머스
- stack
- 이분탐색
- 분할정복
- AVX
- SIMD
- 모바일청첩장
- 자료구조
- 알고리즘
- ChatGPT
- 셀프모청
- hash
- Sort알고리즘
- GPT
- 완전탐색 알고리즘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